본문 바로가기

이상한 이상심리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치료, ① 정신역동적 치료

반응형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치료방법 중 정신역동적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신역동적 치료에서는 꿈의 해석과 자유 연상법, 저항을 해석하는 방법, 전이와 역전이를 해석하는 방법, 주로 전이를 연구한 코헛과 방어기제의 해석을 다룬 컨버그의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1. 정신역동적 치료

정신분석 치료의 핵심은 ‘불행하고 잘못된 인간관계에 의해 일어난 심리적 장애나 심리적 구조의 결핍은 ‘관계’를 통해서만 치료‘될 수 있습니다.

1) 꿈의 해석과 자유연상

꿈에 무의식적 세계가 상징적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꿈을 해석합니다자유롭게 떠오르는 대로 전개하고 무의식과 정신세계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자유 연상법입니다..

 

2) 저항해석

저항은 자신의 내면이 드러나 치료되는 것에 거부하고자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 치료시간에 오지 않을 핑계, 지각하기, 치료자의 해석을 거부하기 등이 있습니다. , 무엇 때문에, 어떻게 저항하는지 이해하고 먼저 해석해주어야 하며 환자가 직면하기 힘들어하는 심리적 갈등은 무엇이 있으며 관련된 문제를 알아갈 수 있게 도와주는 작업입니다.

 

3) 전이해석

전이란 어린 시절이나 과거에 중요한 타인관의 관계 패턴이 현재 대인관계에서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과거의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느꼈던 감정을 현재 중년의 여자 상담자에게 같은 감정 역동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전이가 일어나는 이유는 과거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미해결 된 갈등이 현재의 관계에서 재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치료자는 잘 관찰하여 의미를 해석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코헛의 치료방법

코헛은 치료 관계에서 나타나는 전이의 3가지 현상을 주장했습니다. 

첫째, 반사 전이로 내담자가 부모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치료자에게 전이하는 것입니다. 
둘째, 이상화 전이로 과거의 부모를 이상화하여 보듯, 현재 치료자를 이상화하여 보는 것입니다. 
셋째, 쌍둥이 전이로 치료자와 같은 사람이 되고 싶어하는 욕구입니다.

내담자가 건강하고 정상적인 발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해와 공감을 통해 재 양육되어야 합니다. 어린 시절의 자존감 상처를 회복하면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치료될 수 있다고 봅니다. 

 

5) 컨버그의 치료방법

컨버그의 치료 방법은 방어기제의 해석을 강조하는 점에서 코헛과 차이가 있습니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치료과정에서 치료자를 이상화하는 경향과 치료자를 이기려는 강한 시기심, 모욕감, 분노 감정에 대해서 공감하기보다는 지속적으로 깨우쳐주어야 합니다. 내면 깊이 분리되어 있는 이상화하고자 하는 욕구와 분노를 서로 통합시켜야 합니다. 타인을 무시하는 행동을 자각하고 죄책감을 느껴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능력 배양해야 합니다. 또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의 괴리가 심하게 자아를 분리시키고 있는 것에 대해서 자각하게 합니다. 최종적인 치료 목표 양극화된 자신의 측면을 자각하고 스스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전이와 역전이의 발달을 관찰한 후 치료적 개입을 하는 과정에서 내담자의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여 가장 적절한 접근이 어떤 것인지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6) 역전이 다루기

역전이는 상담 장면에서 치료자가 자신의 심리적 특성을 투사하여 내담자에게 느끼고 대하는 것입니다. 내담자의 이상화 전이가 일어날 때 내면의 분노와 증오 감정이 잠복하고 있는 것을 놓치면 안 됩니다. 치료자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는 내담자 자신과 치료에 도움되지 않으므로 직면시켜야 합니다. 

 

블로그 목차에서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다른 글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