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급 필기시험_심리검사

임상심리사 1급, 청소년상담사 1급, 전문상담사 1급, 필기 시험, 기출문제, 심리검사, 신경심리검사

반응형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임상심리사 1급, 청소년상담사 1급 필기시험의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블로그를 찾아주신 모든 분들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1. 신경심리검사

신경 심리학 > 신경심리학이란 두뇌 기능과 행동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현대 임상신경심리학자는 검사 배터리를 융통성 있게 채택하여 평가한다.
신경심리학자들은 진단, 회복의 예후, 개입과 재활에서 주요 역할을 감당한다.


> 실시하는 목적
현재의 기능상태에 대한 실제적 평가
환자관리 및 치료계획 수립
구체적인 재활계획 수립


> 유의사항
심한 두부 외상의 경우 두뇌의 기질적 손상 여부의 판정은 평가의 주요 관심사가 된다.
원인 및 손상의 정도와 관련없이 신경심리검사의 신뢰도는 지능검사의 결과에 비해 높은 편이다.
간질의 지속기간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적 손상은 항경련제의 영향과는 무관하다.


> 신경학적 손상의 결과와 증상
손상된 지남력 : 사람이 누구인지,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말하지 못하고 자신의 주변에 관하여 알지 못함
손상된 판단력 : 결정을 하지 못한다.
얕고 불안정한 정서 : 사소한 자극에도 너무 쉽게 웃거나 운다.


> 뇌의 기능
시각자극이 한 쪽 반구로만 입력될 때, 분리 뇌 환자는 우측 시야에 제시된 사물의 명칭을 말할 수 있다.


> 국재화 개념
Franz Gall은 골상학을 주장하였다.
Paul Broca의 실어증 연구로 공신력을 얻게 되었다.
국재화의 반대개념으로 등잠재성이 있다.


> 인지재활훈련
뇌 가소성은 뇌 손상 후 뇌에서 일어나는 재구성과 리모델링 능력을 말한다.
뇌 손상 이후 운동기능의 회복은 대뇌피질 신경의 리모델링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사용과 훈련의 의존적인 운동 회복이 뇌졸중 재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다.
신경심리검사 >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기에 적합한 시기에 관한 설명
보상문제와 관련한 임상적 결정을 위해서는 손상 후 최소한 18개월이 지난 뒤로 평가를 미루는 것이 좋다.
진행성 뇌질환인 경우는 초기평가가 중요하다.
뇌 손상 후 6주가 지나면 대체로 급성적 손상은 회복되므로 본격적인 평가는 2달 정도 지나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 신경심리평가에서 결과들을 해석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정보
사회력, 현재의 생활환경, 의하력과 현재의 의학상태


>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검사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성별과 나이, 꾀병여부와 병전 능력, 교육수준과 동기


> 신경심리학적 기능의 연구방법 중 비침입적 기법 뇌파( EEG )


> 보상을 위해 위장하는 경우 신경심리평가에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
기억검사 수행이 저조하다.
대부분의 검사에서 수행이 저조하다
난이도가 낮은 소검사의 수행이 저조하다.


> 증상 위장이 의심되는 행동 양상
본인의 증상 및 병력은 소상히 보고하나 기억력 검사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인다.
난이도와 무관하게 검사수행의 초기부터 저조함을 나타난다
검사결과에서 예상되는 장애정도와 실제 손상에서 예상되는 장애의 정도를 비교할 때 괴리가 큰 편이다.


> 개별검사를 사용하는 장점
기본 검사에서 기능이 온전하게 평가되면 불필요한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필요한 검사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연구가 진행되면서 특정한 뇌손상 영역과 연관되는 기능장애를 평가하는 최신의 검사를 개발, 사용할 수 있다.


> 배터리형 검사와 개별검사의 특징
배터리형 검사의 단점은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반면에 어떤 기능에 대해서는 불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개별검사는 기본 검사에서 기능이 온전하게 평가되면 불필요한 검사를 안 할 수 있다.
개별검사의 선택과 실시, 해석과정은 배터리형 검사보다 훈련과 경험에 있어서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 전산화 신경심리검사의 장점
검사자극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응기록, 응답시간 측정, 반응의 형태적 분석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 신경심리학 영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요 검사와 주 평가 영역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 시공간적 기억의 평가, 즉각 회상과 지연 회상등 포함
Purdue Pegboard Test : 정교한 시각-운동 협응 능력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 단어 유창성을 통한 전두엽 및 측두엽 기능 평가
Wisconsin card soting test : 실행기능


> 한국판 기억평가검사
언어 기억범위, 시간 기억범위, 단어습득, 단어지연회상, 문장즉각회상, 문장지연회상, 얼굴즉각기억, 얼굴지연기억, 시각재생, 시각즉각재연, 시각지연재연(12개 하위검사_단어기억, 언어, 시각기억, 전체기억점수를 산출)


> 시각-공간 구성능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검사 Wechsler 지능검사의 토막짜기 검사


> 시공간 지각 및 구성능력을 측정하는 신경심리검사 Block Design Test, BG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 구성능력을 평가하는 검사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Wechsler 지능검사의 토막짜기 검사, Copying Test


> 주의력과 정신적 추적능력을 측정하는 검사
100에서 연속 7빼기 검사(serial 7)
선로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숫자외우기(Digit Span)


> 주의 집중력을 신경심리검사
연속수행과제(CPT)는 지속적 주의력을 측정한다.
ADS는 연속수행과제로 ADHD 진단에 사용된다.
Trail Making Test B형은 주의 전환(attention shift)을 측정한다.


> 좌측 전두엽 손상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관찰될 수 있는 행동 말을 유창하게 하지 못한다.


> 전두엽 손상
주의를 전환하고 통제하는 능력에 손상이 시사됨
기억자료의 저장과 인출을 위해서 자발적으로 맥락을 사용하는 능력의 손상이 시사됨
사회적 상황에 대한 민감성이 둔화됨
보속증 혹은 상동증의 행동양상이 관찰됨


> 전두엽/실행기능 Controll Oral Word Association test Go-No-Go test 수행이 저조할 때 손상 시사됨


> 뇌졸중으로 심한 언어장애를 보이고 있는 60대 환자의 지적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
Raven Progressive Matrices


> 듣고 이해하는 능력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괜찮지만 특정 말소리를 선택하고 발음하는 데 장애
브로카 실어증


> 피검자의 지각적 통합능력을 측정하는 검사
Hooper Visual Organization Test


> 확산적 뇌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후속평가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신경심리평가를 실시할 때 손상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기능 기억기능, 학습기능, 주의기능


> 60대 남성 교통사고 후 보속증을 자주 보임. 결함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Go-No-Go test, Luria 3단계(주먹, 손날, 손바닥) 검사, 삼각파도-사각파도 그리기


>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신경심리평가
결손의 증거를 발견하는데 실패하였더라도 이것이 결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병전 적응능력, 병전 지능과 관련된 교욱작업 수준에 대한 정보 또한 중요하다.
두부 손상의 정도는 Glasgow Coma Scale 이나 외상 후 기억상실 기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신경심리평가에서 치매와 우울증의 감별점
동기가 부족한 우울증 환자는 모른다는 대답을 많이 하는 반면 치매 환자들은 생각 없이 틀린 답을 하는 경향이 잇다.
우울증 환자들은 자신이 손상된 인지 능력에 대해 좀 더 예민하게 지각하며 더 크게 받아들인다.
기질적 치매는 우울증과는 달리 실어증, 실행증, 실인증이 나타난다.
ADHD 검사 > 아동의 각성수준과 충동성, 주의 유지력등 주의력과 충동성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행검사
연속수행검사(CPT),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ADS), TOVA


> 7세 아동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장난, 지적해도 교정되지 않음 = 실시 검사
연속수행검사(CPT), 웩슬러 유아용 지능검사(K-WIPPSI), 코너스 평가척도, MFFT(Matching Familiar Figure Test)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부주의, 충동성 및 과잉행동 등을 평가
하노이의 탑(Tower of Hanli) 검사,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 Stroop 색단어 간섭검사


> 신경심리평가의 평가영역과 검사도구
기억 WMS, 언어 Token Test, 시각구성능력-BGT, 지능-WAIS


> 학생장애 의심 10세 아동, 연속 수행검사 반응속도 느리고 누락 오류 많음. 오경보 오류는 정상범위.
정신지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부주의 우세형, 우울장애


> 연속수행검사에서 충동성 혹은 억제능력의 부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오경보오류


> 신경생물학 연구 결과에 나타난 뇌 부위와 주요 기능
편도체 정서기억 담당, 기저핵 운동의 계획과 실행, 해마 장기기억 관여, 시상하부 섭식행동 조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