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상한 이상심리

집착하고 협박하는 연인, 태풍 같은 감정 폭발, 경계선 성격장애

반응형

경계선 성격장애는 대인관계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서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매달리는 유형입니다. 이성 관계에서 신속하게 밀착되고 혼자 있는 두려움과 공허감을 견디지 못합니다. 4가지 유형과 유병률, 아동기 외상의 경험과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경계선 성격장애의 유형(밀론과 데이비스(1996))

1) 위축형 경계선 성격장애

만성적으로 기분이 저하되어 있고 온순하며 순종적인 유형입니다. 특정한 사람에게만 강한 애착을 보이고 무조건 순종하며 의존적입니다. 의존적 성격장애와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2) 충동형 경계선 성격장애

변덕스럽고 피상적이며 무책임한 성격 특성을 보입니다. 타인의 관심과 애정을 얻고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면에서 연극성 성격장애와 유사합니다.

 

3) 분개형 경계선 성격장애

분노 표출과 불만을 멈추지 않으며 완고하며 무뚝뚝하고 비관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수동 공격적인 성격장애와 비슷하지만 이들이 보이는 분노나 공격적 행동은 강렬하고 빈번한 특징이 있습니다. 타인의 인정과 관심을 구하지만 이중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4) 자벌형 경계선 성격장애

분개형 경계선 성격장애처럼 타인의 인정과 관심에 대해서 이중적인 태도를 취합니다. 타인의 요구에 지나칠 정도로 순종적이지만 이는 내면의 분노와 적개심을 감추기 위한 것입니다.

 

 

2. 경계선 성격장애의 유병률

발현 시기는 청소년기나 성인기부터 시작되며 지속적인 패턴을 지니는 경우 성격의 문제입니다. 자기정체성의 문제를 지닌 청소년이나 성인 초기에 접어든 경우는 성급한 진단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체 인구의 1.6% 정도이며, 성격장애로 진단받은 경우 중에서 30~60% 정도의 높은 비중을 보입니다.

 

3. 아동기 외상 경험과 경계선 성격장애의 관계

아동기의 트라우마 경험, 즉 신체적 or 성적 학대의 경험은 아동에게 철저한 무시와 유린을 겪게 됩니다. 아동은 가해자를 향한 분노와 적개심을 마음 깊이 쌓아두며 성장하다가 다른 중립적인 대상에게로 전이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불신과 경계심은 더욱 증폭되며 자율성과 독립성이 형성되지 못합니다.

아동기의 애착 대상 즉 중요한 타인을 상실할 경우 거부 또는 유기당했다고 느끼거나, 자신이 없앴다는 상상을 하기도 합니다. 이때 아동은 미움과 분노, 적개심을 갖게 되며 강한 죄책감 또한 형성하게 됩니다. 이때의 상실은 물리적 상실(사별, 이혼, 이별)과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이 상실된 것 즉 정서적 상실을 포함합니다.

아동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보살핌을 받아야 합니다. 아동에게 언어적 비언어적 폭력을 행사하여 부정적인 애착이 형성되도록 만들면 부모에 대한 적대감과 분노를 갖게 되며 이후 다른 대상에 대해서도 그 감정을 일반화시키게 됩니다.

아동에게 부모의 안정적이고 일관적인 보살핌을 받지 못할 경우 아동은 혼란을 경험하게 됩니다. 같은 상황이라도 부모의 기분 상태에 따라 긍정과 부정이 결정된다면 아동은 혼란 속에서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아동의 마음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긍정적일 때는 좋은 부모와 부정적일 때는 나쁜 부모로 분리되어 받아들입니다.

급변하는 우리 사회의 불확실성과 불안정성 또한 경계선 성격장애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반응형